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션 수식에서 소수점 반올림하기: 3가지 활용 방법

by 업부업과 함께 2024. 1. 23.

 

반응형

1. ROUND()

숫자의 소수점을 반올림하려면 노션 수식에서 제공하는 ROUND()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가장 기본적이며 간편한 소수점 반올림 방법입니다. ROUND() 함수는 반올림할 숫자와 반올림할 자릿수를 파라미터로 받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3.1415의 소수점을 소수점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할 수 있습니다.

=ROUND(3.1415, 2)

이 공식은 결과로 3.14를 반환합니다. 즉, 소수점 두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2. FLOOR()와 CEILING()


소수점을 반올림하는 데 앞서, 가장 가까운 정수로 하는 반내림(FLOOR())과 반올림(CEILING())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함수는 비슷한 목적을 가지지만, 반올림보다는 좀 더 특별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FLOOR()

FLOOR() 함수는 소수점을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로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3.1415를 소수점 한 자리에서 내림할 수 있습니다.

=FLOOR(3.1415)

이 공식은 결과로 3을 반환합니다. 즉,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로 내림한 값입니다.

CEILING()

CEILING() 함수는 소수점을 가장 가까운 큰 정수로 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3.1415를 소수점 한 자리에서 올림할 수 있습니다.

=CEILING(3.1415)

이 공식은 결과로 4를 반환합니다. 즉, 가장 가까운 큰 정수로 올림한 값입니다.

3. TRUNC()

TRUNC() 함수는 소수를 자릿수에 맞게 자른 다음 남은 부분을 삭제합니다. 이 함수는 단순히 숫자를 자르는 역할로서, 여러 가지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3.1415를 소수점 한 자리에서 자를 수 있습니다.

=TRUNC(3.1415, 1)

이 공식은 결과로 3.1을 반환합니다. 즉, 소수점 한 자리까지 잘라진 값입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할까?


소수점을 반올림하는 방법을 선택할 때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OUND() 함수는 소수를 반올림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반면에 FLOOR() 함수는 소수를 내림하고, CEILING() 함수는 소수를 올림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TRUNC() 함수는 소수를 단순히 잘라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추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수를 반올림해야 할 경우 - ROUND()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소수를 내림해야 할 경우 - FLOOR()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소수를 올려야 할 경우 - CEILING()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소수를 단순히 잘라내야 할 경우 - TRUNC()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노션 수식에서 소수점을 반올림하는 3가지 활용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ROUND(), FLOOR(), CEILING(), TRUNC() 함수를 사용하면 손쉽게 숫자를 원하는 형식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어보세요!

반응형